노인 치매 환자와 우울증은 때로는 증상이 비슷해보여서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노인성 치매와 우울증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록]
1. 노인 우울증의 특징
2. 치매와 우울증 차이
3. 우울증 환자의 치료와 예방
4. 그외 도움되는 정보
1. 노인 우울증의 특징
사람은 나이들어가면서, 젊은 때와는 다르게 심리적 또는 정신적으로 변화해 가는 특성이 있습니다.
첫째, 우울증 경향이 증가하고, 하고 있는 일에 대해 내향적이고 수동적으로 되어가는 경향이 강해집니다.
둘째, 하는 일에 대해 점차 자신감이 떨어짐에 따라 조심성이 증가하고 인생에 대한 회고의 시간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려는 생각보다는 기존의 생각에 대한 집착이 강해지고 친근한 사물에 대한 애착심이 늘어나며 다른 사람에 의존하는 성향도 증가합니다.
이러한 노화 특징에 따라, 노인 질환 중에 우울증이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우울증은 본인 스스로 자각하기 어렵기 때문에 병원을 찾는 경우가 드물고 주변 사람이 발견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특히, 혼자 거주하는 경우가 많아 방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노인 우울증이 발병하는 원인은 뇌의 신경전달 물질의 변화, 치매, 뇌혈관질환, 노화에 따른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 감소, 주변 사람의 죽음, 퇴직, 사회활동의 저하로 인한 경제력 상실, 질병, 수술 등 다양하게 발생합니다.
2. 치매와 우울증 차이
그럼, 치매와 우울증의 증상 차이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우울증은 급격히 발병할 수 있으나, 치매는 서서히 발병합니다.
(2) 우울증은 짧은 기간에 치료를 할 수도 있으나, 치매는 치료가 어렵습니다.
(3) 우울증은 과거 정신과 병력이 있는 경우도 있으나, 치매는 과거 정신과 병력과 관계가 없습니다.
(4) 우울증은 기억력이 없다고 호소하지만, 치매는 기억력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5) 우울증은 인지기능이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지만, 치매 환자는 일관되게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습니다.
(6) 우울증은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이 동등하게 저하되나, 치매 환자는 단기기억이 유독 심하게 저하된 현상을 보입니다.
3. 우울증 환자의 치료와 예방
우울증이 심한 경우에는 삶을 비관하고 자살에 대한 생각이 많아집니다. 그러한 생각이나 구체적인 행동계획을 주변 사람들에게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냥 흘려듣지 말고 집중 관찰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일상생활이 어려운 정도의 우울증이 있다면 바로 정신과 선생님과 의논하여 상담과 약물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우울증은 본인 스스로 극복하기 어렵습니다.
주변의 긍정적인 지지와 관심이 필요하며, 막연히 좋아질거라 말하는 것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가족들이 우울증 환자에 관심을 갖고 긍정적 생각을 하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대상자의 느낌과 생각, 분노를 인정하고 수용해주며 언어로 표현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햇빛을 받으며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은 우울증 개선에 도움이 되며, 모임이나 사회활동을 늘리도록 돕는 것도 좋습니다.
4. 그외 도움되는 정보
'건강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GM 다이어트 단기 식단 효과 좋은 급찐살 빼는 방법 (0) | 2025.04.06 |
---|---|
가족돌봄 청년 정부 지원사업 신청하기 (0) | 2024.11.07 |
치매환자 돌보기, 치매 식사 관리 (1) | 2024.06.17 |
(질병 통원 병원) 실비보험 청구 서류 (0) | 2024.04.10 |
치매환자 돌보기, 치매약 복용 및 관리 (0) | 2024.02.12 |
댓글